지방세 체납조회 방법 관련해서 쉽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세금에 대한 지식이 많지 않을때에는 지방세에 대해서 잘 모르는경우가 많은데, 세금은 크게 국세와 지방세로 나뉘게 되는데 국세는 국가의 재정수요에 충당되는 것이고 지방세는 지역적 특성을 갖고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이 되는 세금을 뜻하게 됩니다.
지방세에 포함되는 세금으로는 서울시를 기준으로 취득세와 지방소비세, 지방소득세, 주민세, 자동차세, 담배소비세, 레저세, 지역자원시설세, 지방교육세, 재산세, 등록면허세 등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지방세 체납조회 해야될만큼 중요한것은 주민세와 자동차세, 재산세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주민세와 자동차세, 재산세는 납부시기가 되면 지로용지와 같이 집으로 우편배달이 되는데 깜빡하거나 집을 오랫동안 비우게 되면 체납이 되기때문에 지방세 체납조회 방법을 통해서 체납사실을 확인하고 납부하시면 되겠습니다.
지방세 체납조회
지방세 체납조회 온라인으로 쉽게 알려주는곳은 위택스(https://www.wetax.go.kr/) 라는 사이트가 있는데 이곳을 이용하면 현재 개인앞으로 고지가 되었지만 납부가 되지않아서 체납되어있는 지방세를 쉽게 조회해볼수 있고 또 납부까지도 한방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지방세 체납조회 방법 순서
- 포털에서 '위택스' 검색 후 접속
- 상단 메뉴에서 납부하기 > 지방세 선택
- 공동인증서 또는 브라우저 인증서로 로그인
- 조회기간 선택
지방세 체납조회 직접해보는 방법은 위택스(https://www.wetax.go.kr/)에 접속해서 로그인을 해주신다면 직접 체납조회와 함께 체납내역이 있다면 납부까지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위택스는 다음이나 네이버, 구글과 같은 포털사이트에서 '위택스'로 검색하시면 쉽게 찾을 수 있고 해당 페이지로 접속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접속 후 첫화면에서 상단에 있는 메뉴 납부하기 > 지방세의 순서대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로그인을 진행하게 되는데 로그인은 공동인증서(구.공인인증서) 또는 브라우저 인증서를 사전에 등록해두어야 하므로 미리 공인인증서를 위택스에 등록해놓으시거나 이번 지방세 체납조회 해보려고 접속한김에 등록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위택스에 로그인까지 정상적으로 진행이 되셨다면 메뉴를 다시한번 선택하실수도있고 바로 위 그림과 같이 지방세 체납조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위 화면이 안나온다면 다시한번 상단의 메뉴인 납부하기 > 지방세 순서로 선택해서 위 화면으로 입장하시면 됩니다.
지방세 체납조회 화면에서 가장 먼저 할것은 기간을 선택하는것입니다.
기간을 최대한 여유있게 선택해서 설정 후 검색버튼을 누르게 되면 검색결과란에 체납건이 나오게 됩니다. 저는 올해 주민세를 납부하지 않아서 검색결과에 주민세가 체납된것을 확인할 수 있었네요.
저와같이 지방세 체납내역이 있다면 체납조회 후 우측하단에 있는 납부버튼을 누르게되면 신용카드로도 즉시 체납된 지방세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생활의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카드 결제일별 이용기간 최신자료 (0) | 2021.10.26 |
---|---|
하나카드 결제일별 이용기간 최신업데이트 (0) | 2021.10.26 |
가족관계증명서 무인발급기 해결 (0) | 2021.10.18 |
코로나 증상 확인법 정리 (0) | 2021.10.18 |
2022년 공휴일 날짜 며칠인지 알려드림 (0) | 2021.10.13 |
댓글